반응형
색상 표기법에 대한 정리.
red, blue, green… 같은 단어 표기로 세상의 모든 색을 표현할 수는 없다. 16진수 표기법과 RGB-A 표기법으로 보다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.
16진수 표기법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색상표기법</title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css/style.css">
</head>
<body>
<ul>
<li class="color1"></li>
<li class="color2"></li>
<li class="color3"></li>
<li class="color4"></li>
<li class="color5"></li>
<li class="color6"></li>
<li class="color7"></li>
<li class="color8"></li>
<li class="color9"></li>
<li class="color10"></li>
<li class="color11"></li>
<li class="color12"></li>
<li class="color13"></li>
<li class="color14"></li>
<li class="color15"></li>
<li class="color16"></li>
</ul>
</body>
</html>
@charset 'utf-8';
/* reset */
* {margin: 0; padding: 0;}
ol,ul,li {list-style: none;}
a {outline: 0; text-decoration: none;}
img {border: 0;}
ul li {width: 100%; height: 50px;}
.color1 {background-color: #000;}
.color2 {background-color: #111;}
.color3 {background-color: #222;}
.color4 {background-color: #333;}
.color5 {background-color: #444;}
.color6 {background-color: #555;}
.color7 {background-color: #666;}
.color8 {background-color: #777;}
.color9 {background-color: #888;}
.color10 {background-color: #999;}
.color11 {background-color: #aaa;}
.color12 {background-color: #bbb;}
.color13 {background-color: #ccc;}
.color14 {background-color: #ddd;}
.color15 {background-color: #eee;}
.color16 {background-color: #fff;}
- 16진수 (0,1,2,3,4,5,6,7,8,9,A,B,C,D,E,F)로 구성된 색상 코드
- 앞에 두자리는 R, 가운데 두자리는 G, 마지막 두자리는 B값을 의미한다.
0으로 갈수록 해당 값이 낮아지며, F로 갈수록 해당 값이 높아진다. - # + 숫자나 문자로 조합된 6자로 구성된다.
ex_ #000000 - 같은 글자가 6개 반복될 시 3개로 줄일 수 있다.
ex_ #000000 → #000
RGB-A 표기법
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색상표기법</title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css/style.css">
</head>
<body>
<div class="custom1"></div>
<div class="custom2"></div>
</body>
</html>
@charset 'utf-8';
/* reset */
* {margin: 0; padding: 0;}
ol,ul,li {list-style: none;}
a {outline: 0; text-decoration: none;}
img {border: 0;}
.custom1 {width: 100%; height: 50px; background-color: #6ed3d8;}
.custom2 {width: 100%; height: 50px; background-color: rgb(136, 110, 216, 0.5);}
custom2에 본래 지정된 컬러는 진한 보라색이지만, Alpha값이 적용되어 배경인 흰색의 영향을 받아 연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- 웹은 기본적으로 RGB방식이다. 가상혼합방식이라고도 하며, Red, Green, Blue의 조합으로 모든 색이 표현된다.
- 16진수보다 번거롭지만, Alpha(투명도)값을 사용하기 위해선 RGB-A식으로 사용해야한다.
Alpha값은 1은 100%, 0.5는 50%, 0은 0%로 값이 낮아질수록 투명해진다.
다양한 툴을 활용한 컬러 사용법
- 포토샵 등의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에서 원하는 색을 만들어 RGB값이나 # 뒤의 16진수 코드를 가져올 수 있다.
- VScode에서는 쉽게 색상 및 투명도, 16진수와 RGB값을 변환할 수 있는 컬러파레트를 기본으로 제공한다.
컬러값 클릭 → 코드값 클릭으로 표현방식 전환, 앞에 바로 투명도, 뒤에 바로 색상 변경 가능
HTML/CSS에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색상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다. 색만 잘 써도 디자인의 완성도와 전체 무드에 큰 영향을 미친다. 디자인 용도 뿐 아니라 복잡한 레이아웃을 짤 때에도 div의 색을 다양하게 지정해 활용할 수 있다.
보통은 비교적 간편한 16진수로 많이 쓰지만, 투명도 값이 필요하다면 RGB-A 표기법을 써야 하므로 둘 다 사용법 및 변환법을 숙지해야 겠다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