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EVELOPMENT NOTE/HTML/CSS / / 2022. 11. 22. 10:20

[HTML/CSS] 블록(Block) 요소

반응형

 

HTML/CSS에서 많이 쓰이는 다양한 블록 요소들 정리.

 


<h1~6> 제목 태그 (Heading)


        <h1>제목1</h1>
        <h2>제목2</h2>
        <h3>제목3</h3>
        <h4>제목4</h4>
        <h5>제목5</h5>
        <h6>제목6</h6>
  • <h1>부터 <h6>까지 총 6단계가 있다.
  • 숫자가 높아질수록 제목의 중요도가 떨어진다.

 

 

 

 <p> 문단 태그 (Paragraph)


        <p>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</p>

 

 <ol> 순서가 있는 목록 (Ordered List)


        <ol>
            <li>순서가 있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있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있는 목록</li>
        </ol>

 

  • 앞에 숫자가 붙는(넘버링) 목록
  • 하위 항목은 <li> 태그(List)로 구현한다.

 

 

<ul> 순서가 없는 목록 (Unordered List)


        <ul>
            <li>순서가 없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없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없는 목록</li>
        </ul>

 

  • 순서 구분 없이 불렛이 붙는 목록
  • <ol>과 동일하게 하위 항목은 <li> 태그로 구현한다.

 

 

<div> 레이아웃 구성 태그 (Division)


    <div>
        <h1>제목1</h1>
        <h2>제목2</h2>
        <h3>제목3</h3>
        <h4>제목4</h4>
        <h5>제목5</h5>
        <h6>제목6</h6>
        
        <p>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    문단 태그
        </p>
    
        <ol>
            <li>순서가 있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있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있는 목록</li>
        </ol>
    
        <ul>
            <li>순서가 없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없는 목록</li>
            <li>순서가 없는 목록</li>
        </ul>
     </div>

 

  • 화면의 요소들을 그룹화 시켜주거나 분할하는 태그
  • 웹페이지의 기본 레이아웃 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한다.

 

블록 요소의 특성


    <style>
        h1, h2, h3, h4, h5, h6 {border:1px solid red;}
        p {border:1px solid green;}
        ul, ol {border:1px solid blue;}
        div {border:5px solid black; width:300px;}
    </style>

블록 요소가 차지하는 영역이 잘 보이도록 스타일을 적용한 모습. 아래는 블록 요소들이 공통으로 갖는 특징들이다.

 

 

div, p, ul, ol, li, dl, dt, dd, h1~h6, table, form, address, fieldset + 시멘틱태그 등등...
  • 블록 요소는 기본적으로 블록처럼 쌓이며 자동 줄바꿈이 적용된다.
  • width값과 height값을 지정할 수 있다.
  • width값 미지정 시 부모 태그의 100%를 기준으로 자동 설정된다.
    ex_div 태그의 width 사이즈에 맞게 자식 태그들의 width값이 변화
  • margin, padding으로 모든 방향에 여백을 부여할 수 있다.
  • 블록 요소 안에 다른 블록 요소나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.
    ex_모든 블록 요소를 감싼 div 태그
    단, 일부(address, h1~h6, p등)요소는 블록요소를 포함할 수 없다.

 

 


대부분의 웹 페이지들이 이런 블록 요소들을 기본으로 구성되어있다. 티스토리 에디터에서도 이 태그들이 여기저기 쓰이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. ol과 ul이 항상 헷깔렸는데, 본래 영어 단어의 의미로 보니까 직관적이고 외우기 쉬웠다. 

 

스타일을 부여하니 각 영역들이 명확하게 보여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. 블록 요소의 특성은 이후 레이아웃을 짤 때 태그가 꼬이더라도 빠르게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. 이 다음 배울 인라인 요소와 헷깔릴 수 있으니 둘의 차이를 잘 체크해야겠다.

 

 

 

반응형